![[네트워크] 얕게 Wireshark 로 TCP, TLSv1.3 연결 확인해보기 (with ChatGPT)](https://img1.daumcdn.net/thumb/R750x0/?scode=mtistory2&fname=https%3A%2F%2Fblog.kakaocdn.net%2Fdn%2Fbv2x8F%2Fbtsv8bw1jZt%2Fuei9RyKkLdcYCncEZdYigK%2Fimg.png)
HTML 문서가 있을 때, HTTP는 HTML을 나르는 프로토콜이고, 이때 TCP라는 인프라를 활용한다.- 널널한 개발자 강의 중 인프런 강의 중 "외워서 끝내는 네트워크 핵심이론 - 기초"를 듣게 되었다. 평소 유튜브 채널 "널널한 개발자"를 잘 보고 있었는데, 왠지 들어야 할 거같은 느낌에 들었는데 TCP와 TLS에 대해 좀 더 알아보게 되었고 정리해보았다. 강의 링크 외워서 끝내는 네트워크 핵심이론 - 기초 - 인프런 | 강의TCP/IP에서 HTTP까지! 네트워크에 대한 기본 이론이 부족한 분들이 '외워서'라도 전공 이론을 이해하고자 희망하는 분들을 위해 준비한 강의입니다. 할 수 있습니다!, [사진] 네트워크, 외워서 쉽고www.inflearn.com 이 강의 덕분에 이론으로만 알고 있던 지식..
복습 위해 5년전 방송기술직 목표로 공부했던 내용 포스팅IP(Intenet Protocol) - 인터넷상에서 하나의 host(컴퓨터)를 구분하기 위한 고유 주소(=식별자)- L3 계층에서 사용 - 라우터간 통신시 IP는 식별자 이다.- IPv4에서 A ~ E 클래스로 나눠지며, network id, host id 구분되어 관리됨- IPv4 의 경우 32bit 주소 체계 가짐 (2^32 = 약 43억개)예) 192.168.174.100 (10진수) -- 8bit * 4 자리 - IPv6의 경우 128bit 주소 체계 가짐 (2^128 = '지구 상에 존재하는 모래알 개수보다 많다')예) 2004:2ba8:13aa:0011:0000:0000:0000:abaa -- 16bit * 8 자리 IPv4 주소 ..
![[네트워크] 대칭키, 비대칭키 그리고 Https](https://img1.daumcdn.net/thumb/R750x0/?scode=mtistory2&fname=https%3A%2F%2Fblog.kakaocdn.net%2Fdn%2Fl1Aat%2FbtrlNdYozY7%2Fs7wtpDk0VKgmBdq1VcYV51%2Fimg.png)
HTTP(HyperText Transfer Protocol) 인터넷 상에서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자원을 주고 받을 때 쓰는 통신 규약 HTTPS(HyperText Transfer Protocol Secure) 인터넷 상에서 정보를 암호화하는 SSL 프로토콜(보안 이슈로 TLSv1.3 사용)을 사용해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자원을 주고 받을 때 쓰는 통신 규약 HTTPS는 텍스트를 공개키 암호화 방식으로 암호화 함 HTTPS 를 사용한다는 것은 두가지 의미를 가진다. 신뢰있는 사이트 보증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에 정보 교환시 암호화 통해 제 3자 노출 방지 대칭키(Symmetric Key) vs 비대칭키(=공개키, public key) 방식 대칭키 (개인키,비밀키) 비대칭키 (공개키) 방식 송신key == 수신 ..
![[네트워크] Http Method 와 Http Status Code](https://img1.daumcdn.net/thumb/R750x0/?scode=mtistory2&fname=https%3A%2F%2Fblog.kakaocdn.net%2Fdn%2FcvSKaW%2FbtrkAvgoDqf%2FqhdUZsLYGDBDwlAKL9kf61%2Fimg.png)
HTTP (HyperTexT Protocol) 하이퍼텍스트를 빠르게 교환하기 위한 프로토콜의 일종 즉, HTTP는 서버와 클라이언트의 사이에서 어떻게 메시지를 교환할지를 정해놓은 규칙 80번 포트를 사용하며 HTTP의 구조는 요청(Request)과 응답(Response)으로 구성 https://namu.wiki/w/HTTP HTTP Request Method 서버에 요청시 주어진 리소스에 수행하길 원하는 행동을 Method 로 나타냄 CRUD ('Create', 'Read', 'Update', 'Delete') 에 대해 Http Method를 보통 아래와 같이 구분함 Create = POST/PUT Read = GET Update = PUT Delete = DELETE GET 서버에게 특정 Resourc..